서구 (대전광역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구는 대한민국 대전광역시의 자치구로, 1988년 중구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다. 1989년 유성구와 대덕군 기성면이 편입되었고, 이후 행정구역 조정이 여러 차례 이루어졌다. 서구는 대전의 서남부에 위치하며, 정부대전청사, 교육기관, 고속도로 및 철도, 문화시설 등을 포함하며, 24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기관으로는 정부대전청사, 대전예술의전당, 한밭수목원 등이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 서구 - 갈마도서관
갈마도서관은 1994년 대전 서구 갈마동에 개관하여 자료실, 열람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이동 도서관을 운영하며 지역 주민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 대전 서구 - 한국산림기술인회
한국산림기술인회는 산림기술 진흥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산림청 산하 특수법인으로, 산림기술자의 자질 향상과 권익 옹호, 산림기술 발전 등을 목표로 산림기술자 자격 및 경력 관리, 산림기술용역업 등록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산림기술 연구·개발 및 교육 훈련, 관련 기관과의 협력 증진을 통해 산림기술 발전에 기여한다. - 대전광역시의 행정 구역 - 대덕구
대전광역시 대덕구는 오랜 역사를 지닌 지역으로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신설되었으며, 풍부한 자연환경, 교육기관, 공공기관 및 기업들이 위치하고, 터키 이스탄불과 우호 교류 도시 관계를 맺고 있으나 최근 인구 감소 추세를 보인다. - 대전광역시의 행정 구역 - 중구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중구는 1977년 설치된 행정구역으로, 원도심에 위치하여 활발한 상업 활동과 편리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으며, 자연 및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필리핀 말라본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서구 (대전광역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지역 이름 | 서구 |
한자 표기 | 西區 |
로마자 표기 | Seo-gu |
매큔-라이샤워 표기 | Sŏ-gu |
행정 구역 | 대한민국 자치구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 자치 단체 | 대전광역시 |
하위 행정 구역 | 23개 행정동 |
면적 | 95.25 km² |
인구 (2024년) | 458,903명 |
인구 밀도 | auto |
방언 | 충청 방언 |
공식 웹사이트 | 서구청 |
정치 | |
구청장 | 서철모 |
구청장 소속 정당 | 국민의힘 |
국회의원 (갑) | 장종태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을) |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
행정 구역 | |
행정동 수 | 24개 |
법정동 수 | 27개 |
기타 정보 | |
구청 소재지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서로 100(둔산동) |
대표 이미지 | 대전예술의전당 및 둔산동 일대 |
![]() | |
![]() | |
![]() |
2. 역사
1988년 1월 1일 중구에서 분리되어 서구가 설치되었고, 1989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승격과 함께 유성구가 분리 신설되면서 서구의 북서부 지역이 유성구로 편입되었으며, 대덕군 기성면이 서구에 편입되었다.[5] 이후, 서구 내에서 여러 차례 행정동 분동 및 명칭 변경이 이루어졌다.
일자 | 내용 |
---|---|
1991년 12월 1일 | 용문동에서 삼천동이 분동되었다. |
1992년 9월 1일 | 도마2동에서 정림동이 분동되었다. |
1993년 11월 1일 | 용문동에서 탄방동이, 삼천동에서 둔산동이, 갈마동에서 월평동이 각각 분동되었다. |
1994년 7월 1일 | 월평동이 월평1동, 월평2동으로 분동되었다. |
1995년 1월 1일 | 대전광역시 서구로 개칭되었다. |
1996년 1월 1일 | 둔산동이 둔산1동, 둔산2동으로 분동되었다. |
1996년 8월 20일 | 가장동에서 내동이 분동되었다. |
1998년 1월 1일 | 월평1동이 월평3동으로, 월평2동이 만년동으로, 갈마동이 갈마1동, 갈마2동으로 각각 분동되었다. |
2003년 2월 1일 | 가수원동에서 관저동이 분동되었다. |
2005년 2월 4일 | 관저동이 관저1동, 관저2동으로 분동되었다. |
2009년 5월 1일 | 법정동 삼천동이 둔산동으로 변경되고, 행정동 삼천동이 둔산3동으로 개칭되었다.[6] |
2022년 6월 20일 | 가수원동에서 도안동이 분동되었다. |
2. 1. 1988년 서구 설치
1988년 1월 1일 중구에서 복수동, 안영동, 도마동, 정림동, 변동, 용문동, 탄방동, 삼천동, 괴정동, 가장동, 내동, 갈마동, 둔산동, 월평동, 원내동, 교촌동, 대정동, 용계동, 학하동, 계산동, 가수원동, 도안동, 관저동, 봉명동, 구암동, 덕명동, 원신흥동, 상대동, 복룡동, 장대동, 갑동, 노은동, 지족동, 죽동, 궁동, 어은동, 구성동, 문지동, 전민동, 원촌동, 신성동, 가정동, 도룡동, 장동, 방현동, 화암동, 덕진동, 하기동을 관할로 대전시 '''서구'''가 설치되었다.[4]2. 2. 1989년 유성구 분리 및 대덕군 기성면 편입
1989년 1월 1일 대전시가 대전직할시로 승격하면서 유성구가 설치되어, 서구의 북서부 지역(원내동·교촌동·대정동·용계동·학하동·계산동·봉명동·구암동·덕명동·원신흥동·상대동·복룡동·장대동·갑동·노은동·지족동·죽동·궁동·어은동·구성동·문지동·전민동·원촌동·신성동·가정동·도룡동·장동·방현동·화암동·덕진동·하기동)이 유성구로 분리되었다.[5] 같은 날 대덕군 기성면이 서구에 편입되었다.[5]2. 3. 1991년 ~ 2022년 행정동 변천
- 1991년 12월 1일 용문동에서 삼천동이 분동되었다.
- 1992년 9월 1일 도마2동에서 정림동이 분동되었다.
- 1993년 11월 1일 용문동에서 탄방동이, 삼천동에서 둔산동이, 갈마동에서 월평동이 각각 분동되었다.
- 1994년 7월 1일 월평동이 월평1동, 월평2동으로 분동되었다.
- 1996년 1월 1일 둔산동이 둔산1동, 둔산2동으로 분동되었다.
- 1996년 8월 20일 가장동에서 내동이 분동되었다.
- 1998년 1월 1일 월평1동이 월평3동으로, 월평2동이 만년동으로, 갈마동이 갈마1동, 갈마2동으로 각각 분동되었다.
- 2003년 2월 1일 가수원동에서 관저동이 분동되었다.
- 2005년 2월 4일 관저동이 관저1동, 관저2동으로 분동되었다.
- 2009년 5월 1일 법정동 삼천동이 둔산동으로 변경되고, 행정동 삼천동이 둔산3동으로 개칭되었다.[6]
- 2022년 6월 20일 가수원동에서 도안동이 분동되었다.
3. 지리
서구는 대전의 중심부에서 서남부 지역에 걸쳐 길쭉한 모양으로 위치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중구, 북쪽과 서쪽으로는 유성구와 접하며, 일부는 대덕구와도 접한다. 유등천은 중구 및 대덕구와의 경계를 이루며, 갑천은 서구의 중심부를 흘러 북쪽에서 유성구와 일부 경계를 이룬다.
남서쪽에는 구봉산, 장태산, 안평산 등 해발고도가 낮은 산들이 늘어서 있어 경치가 좋고, 등산 등에 적합한 환경을 이루고 있다. 장태산에는 장태산자연휴양림이 조성되어 있어 산림욕도 가능하며, 숙박시설도 갖추고 있다.
4. 행정 구역
대전광역시 서구는 24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1] 2013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서구의 인구는 186,185세대, 502,167명이며, 등록 외국인은 3,250명이다.
4. 1. 행정동 목록
2013년 12월 31일 기준으로 서구의 인구는 186,185세대, 502,167명이며, 등록 외국인은 3,250명이다. 서구는 24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행정동별 관할 법정동은 다음과 같다.
행정동 | 법정동 |
---|---|
복수동 | 복수동 |
도마1동 | 도마동 |
도마2동 | 도마동, 정림동 |
정림동 | 정림동, 괴곡동 |
변동 | 변동 |
용문동 | 용문동 |
탄방동 | 탄방동 |
둔산1동 | 둔산동 |
둔산2동 | |
둔산3동 | |
괴정동 | 괴정동 |
가장동 | 가장동 |
내동 | 내동 |
갈마1동 | 갈마동 |
갈마2동 | |
월평1동 | 월평동 |
월평2동 | |
월평3동 | |
만년동 | 만년동 |
가수원동 | 가수원동, 괴곡동 |
도안동 | 도안동 |
관저1동 | 관저동 |
관저2동 | |
기성동 | 흑석동, 매노동, 산직동, 장안동, 평촌동, 오동, 우명동, 원정동, 용촌동, 봉곡동 |
2013년 12월 31일 기준 각 행정동의 면적, 세대, 인구는 다음과 같다.
행정동 | 한자 | 면적 () | 세대 | 인구 (명) |
---|---|---|---|---|
복수동 | 福守洞 | 1.78km2 | 7,487 | 22,647 |
도마1동 | 挑馬一洞 | 1.63km2 | 8,334 | 20,470 |
도마2동 | 挑馬二洞 | 1.77km2 | 8,786 | 23,180 |
정림동 | 正林洞 | 6.04km2 | 6,485 | 19,461 |
변동 | 邊洞 | 1.48km2 | 7,463 | 19,052 |
용문동 | 龍汶洞 | 0.98km2 | 7,252 | 16,328 |
탄방동 | 炭坊洞 | 1.65km2 | 13,001 | 30,610 |
괴정동 | 槐亭洞 | 1.26km2 | 9,494 | 21,035 |
가장동 | 佳狀洞 | 0.57km2 | 5,012 | 14,064 |
내동 | 內洞 | 0.99km2 | 9,043 | 26,995 |
갈마1동 | 葛馬一洞 | 1.5km2 | 10,091 | 24,782 |
갈마2동 | 葛馬二洞 | 0.73km2 | 11,773 | 28,332 |
월평1동 | 月坪一洞 | 2.8km2 | 6,094 | 12,946 |
월평2동 | 月坪二洞 | 0.55km2 | 7,364 | 18,604 |
월평3동 | 月坪三洞 | 0.9km2 | 7,712 | 25,526 |
가수원동 | 佳水院洞 | - | - | - |
도안동 | 道安洞 | - | - | - |
관저1동 | 關雎一洞 | 1.04km2 | 5,475 | 16,748 |
관저2동 | 關雎二洞 | 4.59km2 | 10,586 | 33,434 |
기성동 | 杞城洞 | 49.16km2 | 1,661 | 4,419 |
둔산1동 | 屯山一洞 | 1.07km2 | 5,442 | 18,203 |
둔산2동 | 屯山二洞 | 2.4km2 | 13,557 | 41,598 |
둔산3동 | 屯山三洞 | 0.75km2 | 7,742 | 23,203 |
만년동 | 萬年洞 | 1.71km2 | 5,528 | 15,548 |
서구 | 西區 | 95.48km2 | 183,229 | 499,839 |
4. 2. 생활권
크게 네 가지 생활권으로 구분된다.- 기성동을 중심으로 한 농촌 지역.
- 도마동 및 변동을 중심으로 한 구도심 지역.
- 가수원동을 중심으로 한 서남부 지역.
- 둔산동을 중심으로 한 신흥 도심 지역.
5. 인구
연도 | 총인구 |
---|---|
1990년 | 211,675명 |
1995년 | 406,008명 |
2000년 | 470,327명 |
2005년 | 508,388명 |
2010년 | 498,524명 |
2015년 | 491,507명 |
6. 주요 기관
서구에는 정부대전청사 뿐만 아니라 대전광역시청을 비롯한 전국 단위 및 대전광역시 단위의 주요 기관이 위치해 있다. 현재 서구청은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2동에 있다.
국가기록원, 특허심판원, 감사원 대전사무소, 대전청사관리소, 충남지방노동위원회, 대전지방공정거래사무소 등은 정부대전청사에 위치해 있다.[1]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 통계교육원, 통계개발원, 충청지방통계청, 충청지방우정청, 대전광역시경찰청, 대전지방조달청,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대전지방보훈청, 대전전파관리소, 대전인권사무소, 서대전세무서, 한국산림복지진흥원, 한국특허정보원, 한국특허기술진흥원, 한국통계정보원, 신용협동조합중앙회(신협중앙회, NACUFOK), 엽연초생산협동조합중앙회(연협중앙회, KTGO), 과학기술시설관리단, 한국산림기술인회, 한국산지보전협회, 한국은행 대전세종충남본부, 금융감독원 대전지원, 금융결제원 대전사무소, 한국토지주택공사 대전충남지역본부, 한국자산관리공사 대전충남지역본부, 한국가스안전공사 대전광역본부, 신용보증기금 충청영업본부, 기술보증기금 충청호남지역본부, 한국환경공단 충청권환경본부, 근로복지공단 대전지역본부,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대전센터, 한국교직원공제회 대전세종충남지부, 한국관광공사 대전충남지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대전충남지사, 한국무역보험공사 대전세종충남지사, 한국주택금융공사 서남권본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대전지원, 대한법률구조공단 대전지부, 한국부동산원 충청지역본부, 한국소비자원 대전세종충청지원, 대전서부경찰서, 대전둔산경찰서, 서구보건소, 서구의회 등도 서구에 위치해 있다.
둔산동은 대전에서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 중 하나로, 백화점, 정부 기관 및 여러 국제 체인 레스토랑과 소매점 등이 있다. 배재대학교, 한밭수목원, 대전예술의전당, 장태산자연휴양림 등도 서구에 있다.
6. 1. 정부대전청사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 병무청, 국가유산청, 산림청, 특허청, 기상청 등은 정부대전청사에 위치해 있다.6. 2. 기타 주요 기관
특허법원, 방위사업청, 대전고등법원, 대전지방법원, 대전고등검찰청, 대전지방검찰청, 대전광역시교육청 등 전국 단위의 관공서 및 대전광역시 단위의 관공서들이 서구에 위치해 있다.[1]7. 교육
배재대학교, 목원대학교, 대전과학기술대학교 등 여러 대학교가 서구에 위치한다.
서구 관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는 다음과 같다.
대전둔원고등학교 | 대전구봉고등학교 | 대전복수고등학교 | 충남고등학교 |
한밭고등학교 | 대전대신고등학교 | 대전제일고등학교 | 동방고등학교 |
서대전고등학교 | 서대전여자고등학교 | 서일여자고등학교 | 대전관저고등학교 |
대전둔산여자고등학교 | 대전만년고등학교 | 대전외국어고등학교 | 대전괴정고등학교 |
8. 교통
대전광역시 서구는 호남고속도로지선,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국도 제32호선, 국도 제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 등이 지나는 교통의 요지이다. 국도 제32호선이 북쪽에서 동서로, 국도 제4호선이 남쪽에서 동서로 연결되며, 국가지원지방도 제57호선이 남북으로 통과한다.
8. 1. 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지선과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가 서구를 지나며, 서대전 분기점에서 연결된다. 대전남부순환고속도로 서대전 나들목이 서구에 위치해 있다.8. 2. 철도
호남선이 서구를 지나지만, 서대전역은 중구에 있어서 서구에서는 여객열차를 이용할 수 없다. 흑석리역은 2008년 12월 1일부터, 가수원역은 2011년 8월 1일 이후 모든 열차가 무정차 통과한다.[1]대전 도시철도 1호선이 서구를 지나며, 용문역, 탄방역, 시청역, 정부청사역, 갈마역, 월평역, 갑천역이 있다.[2]
9. 문화·관광
만년동에는 도심 속 자연을 경험할 수 있는 한밭수목원이 있다. 1990년대 둔산동을 중심으로 서구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공연 및 예술 관람 시설이 필요하게 되었고, 1998년 대전시립미술관, 2003년 대전문화예술의전당이 개관하였다. 이응노미술관은 2007년에 개관한 사립미술관이다. 이 시설들은 모두 만년동에 있다.
9. 1. 자연
서구의 서남쪽에는 구봉산, 장태산, 안평산 등이 자리 잡고 있다. 경치가 좋아 산행을 하기에 좋다. 장태산에는 장태산자연휴양림이 조성되어 있어, 산림욕도 가능하고 휴양림 내부에 마련된 숙소에서 숙박도 가능하다.만년동에는 한밭수목원이 조성되어 도심 속 자연을 경험할 수 있다.
9. 2. 공연·예술
1990년대에 둔산동을 중심으로 서구의 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이에 걸맞은 공연 및 예술 관람 시설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런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1998년 대전시립미술관이, 2003년 대전문화예술의전당이 개관하였다. 이응노미술관은 사립미술관으로서 2007년에 개관하였다. 모두 만년동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대전을 대표하는 종합 공연장인 대전예술의전당도 서구에 있다.9. 3. 도서관
1994년 갈마동에 갈마도서관이 개관한 이래 2000년에 가수원도서관, 2007년에 둔산도서관, 2008년에 정림동에 대전광역시서구어린이도서관이 갈마도서관 분관으로 개관하였다. 월평도서관도 있다.10. 자매 도시
서구는 다음과 같은 국내외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날짜 형식이 부족하여 1일로 가정
[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
법률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12-31
[5]
법률
법률 제4049호 대전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8-12-31
[6]
법률
구조례 제970호 동의명칭과관할구역에관한조례
2009-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